아무리 자동차에 대해 잘 모르는 운전자라도 일정 거리를 주행하면 엔진오일을 교환해야 되는 상식은 대부분 다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의외로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하는 운전자들이 적지 않다.

"신차 구매하고 나서 엔진오일을 언제 교환해야 되나요?"

그렇다면 정답은 뭘까? 1,000km에서 무조건 교환해야 한다. 5,000km마다 꼬박꼬박 교환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답변부터 1만km 넘어 교환해도 문제가 없다. 등등 자동차 연구소 직원, 정비사, 튜너부터 자동차에 관심 있는 자동차 매니아, 버스 혹은 택시기사까지 각자의 경험과 상식을 앞세워 답변을 할 것이다.

사실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신차를 구매할 때 동봉되는 취급설명서를 잘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완성차 업체들마다 교환주기가 조금씩 다르지만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현대기아차 가솔린 승용차 기준으로 통상 주행할 때 교환주기 그리고 가혹한 주행을 할 때 교환주기가 표기되어 있으며 통상 주행할 때 교환주기는 15,000km 가혹한 주행이 잦다면 7,500km에 교환하라고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취급설명서에 오일교환주기가 표기되어 있어도 자동차를 아끼는 운전자들은 자동차 길들이기 과정에서 실린더 내부에 쇳가루가 발생된다는 이유 등으로 주행거리가 1,000km에 도달하면 기존 엔진오일을 빼고 새로운 엔진오일로 교환하는 운전자도 적지 않다. 가장 기본적인 교환 소모품이지만 교환주기 때문에 논란의 중심이 되는 엔진오일은 어떤 역할을 할까?

1분당 6,000회전 이상 올리는 엔진 내부를 보호하는 엔진오일

속도계와 함께 엔진의 1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타코미터를 통해 운전자는 엔진이 현재 얼마나 회전하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엔진은 정지 상태에서 1분당 1000번 미만으로 회전하여 연료소모를 최소화한다.

하지만 반대로 드래그, 롤링 등 보다 더 높은 가속력을 얻기 위해 1분당 6,000번 이상 회전하는 가혹한 운동을 하기도 한다. 이런 가혹한 상황에서 피스톤과 실린더의 마찰을 줄여 부품의 마모를 최소화해야 하며 이런 역할을 하는 액체가 바로 엔진오일이다.

주행상황 뿐만 아니라 폭염, 혹한 등의 덥고 추운 기후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엔진오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속에 달라붙는 전기적으로 흡착성이 가장 중요하다. 흡착성이 없으면 엔진오일이 윤활 능력이 뛰어나도 금속에 부착되지 않아 엔진 내부의 부품이 보호되지 않기 때문이다.

엔진 내부 부품의 원활한 움직임을 보장하는 점도

엔진오일을 교환할 때 엔진오일 용기에 표기된 5w-30 0w-40 등의 숫자를 보았을 것이다. 이 숫자들은 점도 번호를 나타내며 앞에 숫자와 W(winter의 약자)는 엔진오일의 냉간 시 유동성을 의미하고('동점도'라고도 한다) 뒤의 숫자는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엔진온도에 따른 오일점도의 유지능력을 의미한다. 겨울철에는 숫자가 낮을수록 낮은 온도에서 유동성이 좋아 초기시동에 유리하고 여름철을 포함한 나머지 계절은 점도가 높을수록 높은 온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폭염에서도 확실히 엔진을 보호해 준다.

만약 겨울철에 동점도가 너무 높은 엔진오일을 사용한다면 시동을 걸 때 엔진오일의 순환이 빠르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오일공급이 느려져 실린더와 피스톤 마모가 심해지고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도 있다. 반대로 여름철에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 가혹한 주행환경에서 엔진오일이 점성을 잃어 엔진 내부 부품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고 엔진오일이 소모되기도 한다.

점도를 의미하는 숫자 앞에 SAE라는 영어 약자가 표기되어 있는데 Society Automotive Engineers 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SAE가 표기되어 있다면 일반적으로 사계절에 사용 가능한 복합 점도 오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점도와 함께 점도지수를 표기하기도 하는데 점도와 온도와의 관계로 지수로 표기한 것이며 점도지수는 높을수록 열에 의한 내구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생산되는 엔진오일들은 여름철 점도를 최대한 낮춰 연비향상을 도모하면서도 점도지수를 높여 높은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다.

신차구매 후 엔진오일은 언제 처음 교환해야 하는가?

사실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정답은 없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엔진오일 교환시기가 지나치게 빠르다고 해서 엔진에 나쁜 영향을 주진 않으며 다만 자동차 메이커가 요구하는 규격에 맞지 않는 엔진오일로 교환할 경우 엔진 그리고 배기가스 정화장치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엔진오일을 교환할 때 자동차 메이커가 요구하는 규격에 맞는 엔진오일을 선택해야 한다.

엔진오일 교환전문점 JNaoil(http://www.JNaoil.com)에서 근무하는 조원형 과장은 신차 엔진오일 교환 주기에 대해 "신차구매 후 엔진오일을 꼭 1,000km에서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일부 운전자들이 엔진 내부 쇳가루 등을 이유로 1,000km에서 엔진오일 교환을 주장하는데 쇳가루를 포함한 엔진 내부 이물질은 오일필터에서 걸러지고 오일필터에서 거르지 못하는 미세한 것들은 기능상 지장이 없으니 오일필터를 통과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쇳가루 나온다는 이유로 빨리 교환할 필요는 없다. "라고 언급했다.

또한 자동차 메이커가 알려주는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신뢰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 "메르세데스-벤츠 등 일부 수입차 브랜드는 1만5천km 주행 후 교환하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더운 여름철 짧은 거리 시내 주행 등 가혹한 주행빈도가 많은 경우 메이커가 제시하는 엔진오일 교환주기보다 짧게 주기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이런 관점에서도 생각해볼 필요도 있다. 엔진오일은 기능성이 가장 중요한 상품이지만 기호품으로 볼수도 있는 상품이며 기능상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오일이라 할지라도 사용자에 의해 다른 평가가 나오고 오일제품마다 각기 다른 주행성이나 질감을 제공하는 것도 사실이다.

엔진오일로써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그 이외의 각기 다른 오일이 운전자에게 주는 각기 다른 느낌도 중요하다는 이야기이다.

또한 메이커의 권장주기보다 빠른 엔진오일교환이 경제적인 손실을 제외하면 장점만 있지 단점은 없다.

신차의 오일을 빨리 교환하지 않았을 때 혹시 차에 문제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면 빠른 오일교환은 그 불안감을 잠재워주고 빠른 오일교환이 오랫동안 엔진의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면 그 생각을 실현시켜줄 수가 있다.

물론 그런 장점을 얻기 위해선 그만큼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니 결정은 자기 자신이 해야 할 것이다.

김진우 기자 〈탑라이더 kimjw830@top-rid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