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학생이 공부를 잘하는건 아니다. 1등이 있다면 꼴찌 하는 친구들도 있다. 일단 꼴찌를 하면 관심을 못받고 공부도 소홀하게 돼 '만년 꼴찌'가 될 가능성이 커진다.

자동차 회사도 마찬가지. 잘나가는 회사가 있는가 하면 실패를 겪는 회사도 있다. 휘청해질 정도의 실패를 겪고 나면 다음번에는 차를 연구개발 할 자본과 인력이 부족해져 자동차의 품질도 거기서 멈추거나 뒤쳐지게 된다.

사람이라면 공부가 꼴찌여도 누구나 다른 재주를 갖고 있기 마련이어서 다른 방식으로 인정 받는게 보통이다. 그런데 자동차 회사가 차를 잘 만들지 못한다면 큰일이다. 

학교 선생님이라면 교육을 더 열심히 시켜 우수한 학생으로 돌려놓겠다는 사명감도 있겠지만, 소비자는 그럴 이유가 없다. 어려운 회사차를 구입할 때는 더욱 냉철해진다.  대다수 소비자는 자신이 구입할 수 있는 모든 차 중 가장 좋은 차를 선택하려하지, 회사가 어렵다고 동정심에 차를 구입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 현대차 싼타페와 쌍용차 렉스턴W(오른쪽)

◆ 글로벌 플레이어 될 수 있을까

물론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자동차 회사라면 국내 판매량이 높지 않아도 살아남을 수 있다. 현대기아차 르노삼성 GM은 이미 충분한 해외시장을 갖고 있고 부품공유화 등을 통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여력이 있다. 실제 르노삼성은 이미 미국시장만을 위한 자동차를 생산해 부산 공장을 풀가동하기로 계획돼 있다. 

그러나 쌍용차는 전혀 다르다. 중국 상하이 자동차와 손을 잡고 있었지만 쌍용차 근로자들은 '기술 유출'이나 '먹튀'라는 식의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고 결국 둘은 험한 꼴로 결별했다. 세계 모든 메이커가 탐내는 중국시장을 허무하게 잃는 순간이었다. 

앞으로도 쌍용차는 중국 수출이 그리 쉽지 않아보이고, 러시아와 중남미 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모회사 마힌드라가 위치한 인도가 있지만 인도 시장은 거리도 멀고 관세가 과도해(100%) 한국에서 차를 생산해 수출하는건 쉽지 않다. 더구나 SUV와 고급차를 생산하는 쌍용차의 포트폴리오는 인도와 맞지 않는다.  

◆ 쌍용차의 기사회생 가능한가 

물론 어떤 회사는 히트 상품 하나로 기사회생 하기도 한다. 예를들어 어려웠던 애플이 아이폰을 내놔 초대박을 터뜨리는게 그런 예다.

하지만 자동차는 IT와 달리 철저한 굴뚝 산업이다. 투자한만큼 나오게 돼 있는 것이지, 갑자기 깜짝 홈런을 치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반드시 공장 공정이 수반돼야 하고 그것들은 모두 돈과 직결돼 있다. 각종 부품들의 작동이나 조립 품질이라든지 초기 품질은 모두 돈이다. 

쌍용차는 지난 2분기 매출이 오히려 전년에 비해 감소했고 적자 또한 계속되고 있다. 이미 누적적자가 큰데 회사를 계속 끌고 갈수록 돈을 더 잃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자동차회사가 기사회생한 예 또한 없지는 않다. 미국 포드가 그랬고, 일본 닛산이 프랑스 르노와 통합하면서 살아남은 경우도 그렇다. 그러나 포드는 재규어, 랜드로버, 볼보 브랜드와 공장을 모두 인도와 중국에 팔았고, 닛산도 지분의 절반 가까이를 르노에 넘기고 갖고 있던 스바루 등 일본회사 지분도 모두 팔았다. 강도높은 구조조정도 뒤따랐다. 뭐 하나 팔것이 없고 조정할것도 없는 쌍용차와는 전혀 다른 입장이다. 

이대로라면 앞으로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 쌍용차는 대체 뭘 기대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김한용 기자 〈탑라이더 whynot@top-rid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