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폭스바겐 CC…“감출 수 없는 매력의 소유자”

[시승기] 폭스바겐 CC…“감출 수 없는 매력의 소유자”

발행일 2012-07-23 16:15:26 김상영 기자

마지막으로 폭스바겐 가솔린차를 시승한게 언제였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그만큼 폭스바겐은 디젤 엔진 차량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그래선지 가솔린 차량이 더 색다르고 개성있게 느껴진다.

▲ 페이스리프트된 폭스바겐 신형 CC

유럽 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젤 차량이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역시 차는 가솔린이 제 맛이다. 엔진의 회전질감, 소리, 정숙성 등은 최신 기술이 집약된 디젤 엔진도 따라오지 못한다.

2.0리터 TSI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 폭스바겐 신형 CC를 시승했다.

◆ 허물 벗은 신형 CC…중후함이 더 해졌다

시로코와 함께 이단아 같은 존재였던 CC의 디자인이 더욱 새롭게 변했다. 4도어 쿠페 특유의 형태는 그대로지만 세부적인 디자인을 변경하면서 완성도를 높였고 중후함까지 더했다.

▲ 신형 CC는 중후함과 웅장함이 더 해졌다

최근 폭스바겐의 모든 차량에는 헤드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이 연결된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신형 CC도 이러한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새로운 디자인은 폭스바겐의 플래그십 세단인 페이톤을 떠올리게 한다.

▲ 신형 CC의 디자인 완성도는 더욱 높아졌다

새롭게 적용된 LED 주간주행등이 헤드램프를 감싸듯 자리 잡고 있다. 헤드램프는 단순하게 디자인됐고 새로운 디자인의 라디에이터 그릴을 헤드램프와 연결해 가로로 길게 배치했다. 이전 모델과 달리 라디에이터 그릴과 앞 범퍼가 확실히 나뉘어졌고 디자인은 단순하게 변했다.

▲ 헤드램프와 테일램프는 단순하면서도 세련되게 바뀌었다

테일램프의 변화는 크게 눈에 띈다. 헤드램프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이 세련되고 단순하게 변한 것은 물론이고 기하하적인 모양으로 LED 전구가 적용됐다. 이전 모델에 비해 미적 완성도가 높아졌고 시인성도 크게 향상됐다.

◆ 매끄러운 가솔린 엔진, 부드러움과 강력함을 갖추다

차에 올라 시동을 걸면 또렷하고 앙칼진 가솔린 엔진 소리가 반갑게 맞아준다. 진동을 동반한 탈탈거리는 소음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유유히 물 위를 떠가는 유람선처럼 부드럽게 도로 위를 달린다. 그렇다고 울렁거리거나 흔들림이 느껴지는 것은 아니다.

▲ 가솔린 엔진의 회전질감은 매우 매끄럽다

스포티한 디자인에 걸맞게 가속페달이나 제동페달의 응답성은 신속하다. 서스펜션은 컴포트, 노멀, 스포츠 등 3가지 모드로 조절이 가능하지만 국산 세단에 비해서는 비교적 단단한 편이다. 단단한 편이지만 운전자가 탑승객에게 스트레스를 줄 정도는 아니다.

특히 고회전 영역에서 느껴지는 엔진의 회전질감은 매우 매끄럽다. DSG 변속기를 수동모드로 변경하면 운전의 재미도 한껏 느껴볼 수 있다. 기어가 변속될 때면 호쾌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시트 포지션도 비교적 낮기 때문에 속도감은 더 크게 느껴진다. 최고출력 200마력을 아낌없이 사용할 수 있다.

▲ 신형 CC에 장착된 2.0리터 TSI 엔진

속도는 디젤 엔진이 장착된 CC보다 쉽게 올라간다. 또 소리 없이 부드럽게 가속된다. 막상 계기판을 보면 체감보다 높은 속도로 달리고 있다는 것에 놀랄 따름이다. 고속안정감도 우수하고 풍절음도 크지 않다. 다만 노면소음이 다소 크게 느껴지는 아쉬움도 있었다.

광고에서와 달리 코너링이 그렇게까지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빠른 속도에서 코너에 들어가면 차량 뒷부분이 흔들려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 노면을 움켜쥐고 달리는 느낌은 적었다. 차체의 한계가 그리 높지 않아보이고 이에 전자장비의 개입도 빨리 이뤄지는 모습이다.

가솔린 모델의 가장 큰 단점은 연비다. 지난해 CC 2.0 TDI 블루모션을 시승했을 때 확인했던 우수한 연비를 기대한 것은 아니지만 기대 이하의 연비를 보였다. CC 2.0 TSI의 공인연비는 리터당 10.5km다. 하지만 고속도로에서나 공인연비 수준의 실연비가 나오고 도심이나 속도를 높였을 때는 리터당 6~7km에 불과했다.

◆ 여기저기 뜯어고쳤지만 가격은 낮아졌다…왜?

이전 CC도 가격 경쟁력이 나쁘지 않았다. 5천만원대의 수입차 중에서 이처럼 세련된 디자인과 편의성을 갖춘 차량은 드물었기 때문이다.

▲ 폭스바겐 신형 CC의 실내는 이전 모델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이번에 출시된 신형 CC는 더욱 가격 경쟁력이 높아졌다. 2.0리터 TSI 모델은 기존 5110만원에서 720만원 내린 4390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2.0리터 TDI 모델은 5110만원에서 320만원 저렴해진 4790만원에 판매 중이다.

한-EU FTA와 관련한 가격 할인도 한몫했지만 사실상 가격이 낮아진 이유는 기존 모델에 비해 여러 가지 편의사양이 줄었기 때문이다.

기어 노브 주변을 가득 채웠던 다양한 기능 버튼이 사라졌다. 전동식 햇빛가리개, 일렬주차와 직각주차까지 가능한 파크어시스트 등이 제외됐다. 또 앞좌석 통풍시트와 시속 65km 이상의 속도에서 차선을 이탈하면 스스로 위치를 조정하는 레인 어시스트(Lane Assist) 기능도 생략됐다. 불필요한 편의사양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는 것들이지만 막상 빠지니 서운한 기분도 든다.

▲ 간결하고 세련된 신형 CC의 실내. 기어 노브 주변에 위치했던 기능 버튼이 사라진 모습

MP3를 듣기 위해서는 SD메모리 카드를 이용할 수 있지만, USB나 아이폰 단자는 지원되지 않는다. 블루투스 음악 스트리밍도 지원되지 않는다.

하지만 전자식 파킹브레이크나 오토홀드, 크루즈 컨트롤 등은 여전히 장착됐다. 코너링 램프도 적용됐다.

◆ 가솔린과 디젤, 사륜구동 모델까지 촘촘한 모델 라인업 구축

현재 신형 CC는 2.0 가솔린과 디젤 모델 외에도 사륜구동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 4천만원대로 낮아진 가격과 특성이 뚜렷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은 더 넓어졌다.
 
한 대의 차량으로 디젤 세단을 꺼려하는 아버지도, 기름값에 벌벌 떠시는 어머니도, 드라이브를 즐기는 아들까지 모두 만족 시킬만한 라인업을 갖췄다.

▲ 신형 CC는 저렴해진 가격과 다양한 라인업으로 상품성이 더욱 높아졌다

매력적인 디자인과 탄탄한 기본기를 갖춘 CC는 국내서 판매되고 있는 폭스바겐 차량 중에서 가장 존재감이 크고 판매량도 높다. 이전 모델에 비해 편의사양이 몇 가지 제외됐다곤 하지만 CC의 매력은 여전히 빛난다. 운전에 집중하고, 주차를 직접하는 것을 선호하는 대다수 소비자들에게 낮아진 가격은 큰 매력일 것이다.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스카우트, 트래블러와 테라 디자인 확정..복고풍 전기차

스카우트, 트래블러와 테라 디자인 확정..복고풍 전기차

스카우트 모터스(Scout Motors)가 2026년말 생산을 시작할 전기 SUV 트래블러와 전기 픽업트럭 테라의 최종 디자인을 확정했다. 스카우트는 폭스바겐과 미국의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자동차 제조사로, 리비안 R2 아키텍처 기반의 스카우트 신차를 선보이게 된다. 스카우트는 44년만에 폭스바겐그룹 산하에서 부활한 클래식 브랜드다. 과거 스카우트에서 영감을 받은 복고풍 디자인 요소는 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래더 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메르세데스-AMG GT 63 국내 출시, 가격은 2억7860만원

메르세데스-AMG GT 63 국내 출시, 가격은 2억7860만원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더 뉴 메르세데스-AMG GT 63 S E 퍼포먼스’를 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5월 ‘GT 55 4MATIC+’ 출시에 이어 선보인 ‘GT 63 S E 퍼포먼스’는 2세대 GT 시리즈 중 최상위 모델이다. 메르세데스-AMG GT 63 S E 퍼포먼스의 가격은 2억7860만원이다. 4.0리터 V8 바이터보 엔진, 포뮬러 1TM 기술에 기반한 AMG 고성능 배터리, 전기 모터로 구성된 P3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해 시스템 최고출력 816마력, 최대토크 1420Nm(144.8kgm)다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스텔란티스코리아, 탄소배출권 이익 환원 위한 MOU 체결

스텔란티스코리아, 탄소배출권 이익 환원 위한 MOU 체결

스텔란티스코리아는 탄소배출권 거래 전문 기업인 후시파트너스(Hooxi Partners, 대표 이행열)와 탄소배출권 사업 업무 협약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국내 최초로 전기차 고객 개인의 탄소 감축실적을 실질적 이익으로 환원하는 프로그램 도입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MOU는 스텔란티스코리아가 자사의 전기차(지프 어벤저, 푸조 e-208 및 e-2008) 고객으로부터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임 받아 후시파트너스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거래함으로써 발생

뉴스이한승 기자
로터스, 전기차 브랜드 포기..엘레트라 PHEV 출시

로터스, 전기차 브랜드 포기..엘레트라 PHEV 출시

로터스가 순수 전기차 브랜드를 포기하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출시한다.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카에 따르면 로터스가 대형 전기 SUV 엘레트라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을 출시한다. 엘레트라 PHEV는 2026년 초 선보일 예정이며, 2027년 소형 SUV도 출시된다. 로터스 CEO 펑칭펑(Qingfeng Feng)은 최근 실적발표회의에서 엘레트라 PHEV의 출시 계획을 밝혔다. 엘레트라 PHEV는 900V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이퍼 하이브리드' 전략을 통해 빠른 충전과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폭스바겐, 독일 ‘2025 골든 스티어링 휠’ 어워드 4개 부문 수상

폭스바겐, 독일 ‘2025 골든 스티어링 휠’ 어워드 4개 부문 수상

폭스바겐이 독일 ‘2025 골든 스티어링 휠(Goldene Lenkrad)’ 어워드에서 4개 부문을 석권하며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입증했다. 2025년에는 총 72대의 모델을 대상으로 구동, 섀시, 디자인, 품질, 지속 가능성, 가격 대비 성능, 안전성 등 17개 평가 항목을 심사해 13개 모델을 선정했다. 폭스바겐은 올해 어워드에서 골든 스티어링 휠 49년 역사상 최초로 한 제조사가 4개 부문을 동시에 석권한 브랜드로 이름을 올리는 기록을 세웠다. 먼저 최고의 컴팩트카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영국, 전기차에 주행세 부과 예고..2028년 시행

영국, 전기차에 주행세 부과 예고..2028년 시행

영국이 2028년부터 전기차에 주행세를 부과한다. 영국 레이첼 리브스 재무장관은 2026년 예산안을 통해 전기차에 대한 주행세, 도로세 등 전기차 운영자에 대한 세금 부과 계획을 밝혔다. 이같은 세금 계획안은 휘발유나 경유 소비가 줄어들어 생긴 재정 공백을 채우기 위함이다. 영국 정부는 2028년 4월부터 전기차를 운행하는 사람들에 대해 1마일(1.6km)당 3펜스(58원)의 요금을 부과한다. 하루 32km 주행시 약 1160원, 30일 운영시 매월 3만4800원, 연간 42만3400원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캐딜락, 2026년 상반기까지 3개 전시장 신설 계획

캐딜락, 2026년 상반기까지 3개 전시장 신설 계획

캐딜락이 고객 접점 강화를 위해 12월 서울 송파 전시장 신규 오픈을 시작으로, 2026년 상반기 수도권 서부·부산에 전시장을 추가 오픈하며 전국 세일즈 네트워크 확장에 본격 나선다. 전시장 확대를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전국 고객들의 브랜드 경험 기회를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10월 공식 오픈한 수원전시장에 이어 12월 중 오픈 예정인 서울 송파 전시장은 강남권 핵심 상권에 위치해 송파·강남·서초 등 서울 남부권 고객과의 접점을 강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시승기] 볼보 S90 T8,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최강 가성비

[시승기] 볼보 S90 T8,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최강 가성비

볼보 신형 S90 T8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시승했다. 신형 S90 T8은 S90 라인업의 최상위 모델로 PHEV, 에어 서스펜션이 포함된 액티브 섀시를 통한 강력한 퍼포먼스와 소형차 수준의 높은 연비를 보여주면서 넓은 실내공간을 갖춰 1억원 이하 패밀리카로 최상의 선택지 중 하나다.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지난 7월 신형 S90을 국내에 출시했다. 신형 S90은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볼보의 차세대 외관 디자인을 적용과 함께 차세대 UX와 퀄컴 칩, 고해상도 디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GMC 캐니언 AT4x 국내 인증, 오프로드 특화 픽업트럭

GMC 캐니언 AT4x 국내 인증, 오프로드 특화 픽업트럭

GMC 국내 모델 라인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GM 한국사업장은 최근 중형 픽업트럭, GMC 캐니언(Canyon) AT4x의 연비 인증을 마쳤다. GMC 라인업 중 AT4는 오프로드 성능을 강조한 트림으로, 강화된 서스펜션, 높은 지상고 등이 특징이다. 시에라는 고급감을 강조한 드날리로 출시됐다. GMC 캐니언은 GMC의 중형 픽업트럭으로, 먼저 출시된 쉐보레 콜로라도와 형제차다. GMC와 쉐보레는 유사한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으로 라인업을 구성하는데, GMC는 중대형 SUV와 픽업트

신차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