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K9 시승기…장점 3가지, 단점 3가지

기아 K9 시승기…장점 3가지, 단점 3가지

발행일 2012-06-26 09:55:37 김한용 기자

시승기를 쓰면서 '레일을 깔아놓은 것 같은 주행감각'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경우는 두가지.

첫째는 고성능 스포츠카를 탈 때다. 포르쉐나 BMW를 탈 때면 밋밋한 노면 위를 달리는게 아니라 바퀴가 롤러코스터 레일에 끼워져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둘째는 정반대인 기아 K9 같은 경우다. 레일은 레일인데 롤러코스터가 아니라 KTX를 탄 느낌이다. 무려 시속 250km의 속도로 달리는 동안도 진동과 소음이 느껴지지 않고 착 가라앉은 채 달리는 모습 때문이다.

시속 250km로 달리는 도로위 KTX, K9을 시승했다. 느꼈던 여러가지 요소 중 장점 3가지와 단점 3가지를 추려냈다.

◆ 장점 1. 조용하고 넓은 실내공간

겉모양은 그리 커 보이지 않지만, 실내에 들어서니 의외로 넓었다. 겉모양은 날렵하지만 현대차 에쿠스와 플랫폼을 공유해 국산차 중 가장 넓은 실내를 갖췄다는 설명이다.

이 차의 축거(앞뒤 축간 거리, 실내 길이를 나타냄)는 3045mm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의 일반 모델(3035mm)보다는 조금 길고, 장축(L) 모델(3165mm)보다는 짧다. 좌우 폭을 나타내는 윤거도 1625mm로 S클래스보다 25mm 가량 길다. 반면 새로 나온 BMW 7시리즈보다는 축거나 윤거가 모두 조금씩 작다. 공간에 대한 느낌도 딱 그 정도.

▲ 기아 K9의 주행 모습

차를 고속으로 달려보니 더 놀랍다. 실내 공간에는 풍절음이나 노면소음이라 할 만한 소음이 거의 들어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진동도 없고 배기음도 들리지 않아 속도를 가늠할 수 없었다. 시속 250km 이상의 초고속으로 달려도 시속 100km 정도로 주행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계기반과 체감 속도에서 큰 차이가 나니 비현실적이라는 느낌마저 들었다.
 
◆ 장점 2. 다양한 첨단 기능

국내 최초 적용된 기능만 해도 너무 다양해 일일히 열거하기 어렵다.

차에 앉으니 우선 계기반과 헤드업디스플레이(HUD)가 눈길을 끌었다. 계기반이 꺼졌을 때는 아예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고 모두 그래픽으로만 나타났다. 시동을 거니  너무 다양한 그래픽이 나타나 조금 부담스럽게 여겨지기도 했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계기를 좀  단순화 시키는 기능도 있다면 좋겠다. 계기를 모두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다. 재규어, 레인지로버 등이 이미 시작했고, 이번 기아차에 이어 독일 BMW도 금년내 장착 할 예정이다.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여러 색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래픽의 색깔도 다양하고 품질 수준이 매우 높았다. BMW가 주도해 아우디 등이 채택해 온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이제 고급 자동차 업계의 필수적인 사양이 돼 가고 있다.

'차선 이탈방지'나 '후측방 경고'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 할 만 했다. 실수로 깜박이를 켜지 않은 상태에서 차선을 넘거나, 사각지대에 차가 있는데 차선을 옮기려 하면 시트 방석 부분이 진동하면서 운전자에게 경고를 했다.

▲ 기아 K9의 실내

차선 이탈방지가 달린 차는 많지만, 에쿠스는 소리로, BMW는 핸들의 진동으로만 알리는데, 엉덩이에 직접 진동을 가하는 방식은 세계서 처음이다. 긴장을 시켜주는 효과가 탁월하고, 차선 이탈 방향이나 상대차의 방향까지 알 수 있어 출시된 모든 차 중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라고 느껴졌다.

또, 전자제어식 에어 서스펜션이 있어 속도에 맞춰 차체 높이와 서스펜션 강도를 차가 스스로 조절해 저속과 고속에서 모두 만족할만 했다. 노면에 돌이 많은 경우라면 버튼을 눌러 차체 높이를 높일 수도 있었다.

뒷좌석을 위한 기능도 당연히 우수했다. 버튼을 한번 누르면 조수석 시트가 앞으로 당겨지는 동시에 숙여져 공간을 여유롭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뒷좌석 좌우에 각기 모니터가 마련돼 있고, 오디오, 비디오는 물론 내비게이션을 포함한 대부분 기능을 뒷좌석에서 세팅할 수 있었다. 일본이나 한국 자동차들은 이런 부분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유럽산 수입차들은 이런 배려가 부족하다.
 
◆ 장점 3. 연비와 성능이 우수

K9에 탑재된 람다 V6 3.3 GDi 엔진은 최고출력 300마력(ps), 최대토크 35.5kg·m를 내는 고출력 엔진이다. 연비도 비교적 우수해 신연비 기준으로 리터당 9.6km의 연비를 낸다.

람다 V6 3.8 GDi 엔진은 최고출력 334마력(ps), 최대토크 40.3kg·m의 출력이다. 신연비 기준으로 리터당 9.3km의 연비를 갖췄다.

K9에 장착된 8단 후륜 자동변속기는 가속성능 및 연비 향상, 부드러운 변속감, 소음 및 진동 개선 등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 기아차 K9의 경쟁차와 동력 성능 비교/사진=기아차 K9 출시행사 프리젠테이션 자료

◆ 단점 1. 어디선가 본듯한 첫 인상

K9의 출시전부터 BMW를 베낀 디자인이라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다. 그런데 정작  직접 보니 BMW가 바로 떠오르지는 않았다. 반면 이 차를 한참 시승한 후 BMW를 보니, 차가 어딘가 닮았다는 느낌이 들긴 했다. 하지만 BMW가 오히려 둔해보이고 작아보였다. 디자인을 참고하면서 조금씩 향상시켰던 탓인 듯 하다. 

▲ 기아 K9의 뒷모습

디자인에는 독창성이나 예술성도 중요하겠지만, 목표는 어디까지나 소비자들이 좋은 인상을 받도록 하는데 있다.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기자 몇몇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소비자들의 선택에 따라 내려질 일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선택을 보면, 디자인의 유사성을 그리 나쁘게 여기지 않는 것 같다.

◆ 단점 2. 유럽식 스포티는 아니다

이 차는 조용해도 너무 조용해서 문제다. 가속감이 크게 느껴지지 않아 결정적인 순간에 컨트롤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속도계를 보지 않고 주행하면 위험에 빠질 수도 있겠다.

차체의 서스펜션의 출렁이는 느낌도 상당 부분 잡혀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승차감은 소프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국산 차 중 노면의 잔 충격이 가장 적게 전달되는 차라 할 수 있다. 뒷좌석에 앉으면 마치 기차에 앉은 듯한 느낌인데, 시승자가 운전을 하도 험하게 하니 출렁이는 느낌에 약간 멀미도 났다.

334마력의 엔진 출력은 충분하고도 남는 정도. 250km까지는 쭉 올려붙일 수 있는 정도의 출력이긴 하지만 스포티하다는 느낌까지는 아니다. 제네시스 프라다에도 장착된 5.0리터급 엔진을 장착해주면 얼마나 좋을까 싶지만, 차급을 나누기 위해서였는지 아직 K9에는 초대형엔진까지는 장착되지 못한다.

▲ 기아 K9의 앞모습

비교대상으로 삼은 독일차는 최고급 모델도 스포티를 지향한다. 경쟁모델을 압도하는 엄청난 출력을 내고, 실내로 엔진음이 유입되고, 노면 충격도 느껴지는데 K9은 이와 전혀 다른 느낌이다. 하지만 차의 스포티한 주행감각은 어디까지나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것인만큼 자신에게 맞는 차를 고르는게 중요하다. 
 

◆ 단점 3. 너무 비싼 가격

기분좋게 시승을 마치고, 가격을 살펴보니 좀 당황스럽다. 시승차는 8천640만원짜리 풀옵션 모델이었다. 기아차 K9의 판매가격은 3.3 모델의 경우 가장 낮은 프레스티지 모델이 5290만원, 노블레스는 5890만원, 노블레스 스페셜 6400만원이다.
 
3.8리터 엔진을 장착한 모델은 프레스티지 6340만원, 프레스티지 스페셜 6850만원, 노블레스 7230만원, 노블레스 스페셜 7730만원, 프레지던트 8640만원이다.

경쟁 럭셔리 브랜드 수입차보다 결코 싸지 않은 가격이다. 이미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쌍용차와 GM 대우가 이런 고가 차량을 속속 내놓고 있지만, 이런 가격은 아무래도 쉽게 납득되지 않는다. 일반인이 제 아무리 한땀한땀 정성들여 백을 만들었다고 해도 샤넬 구찌 가격에 팔 수는 없는 것 처럼 자동차도 잘 만드는 것과 가격을 책정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다.

▲ '초호화차'의 반열에 오르기엔 아직 갈길이 멀다

사실 세계 시장에서 우리 돈 8천만원 넘는 자동차 가격을 책정 할 수 있는 양산 브랜드는 불과 몇개 정도다. 독일 메이커 중에서도 벤츠, BMW 브랜드 정도만 성공하고 다른 브랜드는 어렵다는게 여러차례 드러났다. 비교적 브랜드 쏠림이 적다는 미국서 조차 벤틀리 컨티넨탈GT는 2억원이 넘어도 용납 되지만 같은 공장에서 나오는 폭스바겐 페이톤은 1억원이 넘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가장 비싼 에쿠스도 미국선 우리돈 8천만원을 결코 넘지 못한다.

반면 한국 고급 자동차 시장은 사실상 국산차의 일정 쿼터가 보장돼 있다. 일부 기업 임원이나 고위 공무원 등 남의 눈치를 봐야 하는 입장에서는 대부분 출근용으로 국산차를 선택하는데, 이들은 국산차 중 무조건 가장 비싼 차를 선택한다. 때문에 1억4천만원이 넘는 초고가 에쿠스 리무진도 국내에는 나와있다. 이런 국내 소비자들의 약점을 이용해 괜히 가격을 올려잡은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폴스타 CEO

폴스타 CEO "부산공장은 북미 수출을 위한 핵심 거점"

"폴스타는 부산에서 폴스타 4를 생산해 북미로 수출할 예정입니다" 마이클 로쉘러 폴스타 CEO는 최근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로쉘러 CEO는 지난 2024년 10월 폴스타 글로벌 CEO로 선임됐으며, 과거 오펠, 빈패스트, 니콜라 CEO를 역임했다. 폴스타 브랜드는 앞으로 유럽, 북미, 아시아를 3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략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폴스타4를 르노 부산공장에서 생산해 북미로 수출할 예정으로, 부산은 안정적인 공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신형 텔루라이드, 하이브리드와 터보 파워트레인 제공

신형 텔루라이드, 하이브리드와 터보 파워트레인 제공

기아 미국법인은 20일(현지시각) 신형 텔루라이드의 사양을 공개했다.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인 신형 텔루라이드는 팰리세이드와 동일한 터보 하이브리드와 가솔린 터보가 적용되며, 7인승과 8인승으로 판매된다. 기본형과 X-라인, X-프로 트림으로 구성되며, 출고는 2026년 1분기부터다. 2027년형 텔루라이드로 판매될 신형 텔루라이드의 외관 디자인은 면을 강조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우아한 보디패널과 공격적인 볼륨의 펜더는 역동적인 디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마그마 GT 콘셉트 공개..양산 가능성은?

제네시스, 마그마 GT 콘셉트 공개..양산 가능성은?

제네시스는 20일(현지시각) 프랑스에서 열린 '제네시스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를 통해 헤일로카 '마그마 GT 콘셉트'를 공개했다. 향후 10년간 제네시스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장소에서 공개된 마그마 GT는 단순히 디자인 결과물을 넘어서, 브랜드 미래의 고성능 역량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마그마 GT 콘셉트는 지난 9월 뉴욕에서 열린 현대차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발표한 성능 로드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네시스는 퍼포먼스 아이콘으로 헤일로카를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현대차, 크레이터 콘셉트 공개..미래 오프로더 예고

현대차, 크레이터 콘셉트 공개..미래 오프로더 예고

현대자동차는 20일(현지시각) LA오토쇼 2025에 앞서 크레이터(CRATER) 콘셉트를 공개했다. 크레이터는 미래형 오프로더 콘셉트로 컴팩트 SUV를 기반으로 한다. 현대차의 오프로더 트림인 XRT에서 영감을 받았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 산타크루즈, 팰리세이드에 XRT 트림을 운영한다. 크레이터는 현대차가 선보일 미래 XRT 모델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현대차는 크레이터를 통해 끊임없이 탐험하려는 열정이 형성된 비전, 고객들이 깊이 탐험하고 모험의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공개..650마력 럭셔리카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공개..650마력 럭셔리카

제네시스는 20일(현지시각) 프랑스 폴 리카르 서킷에서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 행사를 개최하고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모델 ‘GV60 마그마(GV60 Magma)’를 공개했다. 낮고 넓은 차체를 기반으로 마그마 전용 컬러와 3홀 디자인 등 마그마만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GV60 마그마는 전고를 20mm 낮추고, 와이드 펜더와 275mm 광폭 타이어를 적용해 낮고 넓은 비례를 강조했다. 사이드 스커트와 에어브리더 라인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실차 살펴보니..압도적 존재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실차 살펴보니..압도적 존재감

캐딜락이 에스컬레이드 IQ(ESCALADE IQ)를 국내에 출시했다. 에스컬레이드 IQ는 풀사이즈 전기 SUV로, 가격은 2억7757만원이다. 205kWh 배터리팩을 통해 주행거리는 739km에 달하며, 에어 서스펜션, 사륜 조향 시스템, 어라이벌 모드, 그리고 핸즈프리 ADAS 슈퍼크루즈를 지원한다. 에스컬레이드 IQ는 캐딜락의 시그니처 디자인을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해 강렬하면서도 세련된 존재감을 완성했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수직형 LED 헤드램프, 블랙 크리스탈 실드, 일루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공개..2026년 한국 출시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공개..2026년 한국 출시

포르쉐는 19일(현지시각) 전기 SUV, 카이엔 일렉트릭(Cayenne Electric)을 공개했다. 카이엔 일렉트릭은 기본형 모델인 카이엔 일렉트릭(1억4230만원)과 카이엔 터보 일렉트릭(1억8960만원)으로 구성되며, 사륜구동 모델만 출시된다. 한국 출시는 2026년 하반기로 예정됐다. 이번에 공개하는 카이엔 일렉트릭은 사륜구동 기반 전자식 포르쉐 트랙션 매니지먼트 (ePTM)가 탑재된 카이엔과 카이엔 터보다. 카이엔 터보는 100km/h 가속 2.5초, 200km/h까지는 7.4초가 소요되며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스텔란티스, 테슬라 NACS 충전 적용..한국은 2027년부터

스텔란티스, 테슬라 NACS 충전 적용..한국은 2027년부터

스텔란티스가 자사 전기차 고객의 충전 접근성 및 편의성 강화를 위해 북미 충전 규격(North American Charging System, NACS)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스텔란티스 산하 일부 전기차 고객들은 북미, 일본, 한국 등 향후 5개 국가에서 총 2만8000기 이상의 슈퍼차저 이용이 가능해진다. 도입 시장 및 시점은 2026년 초 북미를 시작으로, 2027년 일본과 한국에 우선 적용된다. 세부 모델별로는 2026년 북미에서 우선적으로 지프 왜고니어 S와 닷지의 차저 데이토나 전기차 모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모범택시3 씬스틸러는 그랜저, 김도기 차바꿨다 

모범택시3 씬스틸러는 그랜저, 김도기 차바꿨다 

하반기 기대작 SBS 드라마 ‘모범택시 3’에 신형 그랜저가 등장한다. 오는 11월 21일 첫 방송되는 ‘모범택시 3’에서 주연 김도기(이제훈 분)가 활용하는 주요 차량으로 그랜저가 등장한다. 고객들은 드라마를 통해 현대차의 플래그십 세단인 그랜저를 주연급 소재인 모범택시로 만나게 된다. 극 중 주인공의 차량으로 그랜저가 선택된 배경을 담은 스핀오프 필름이 지난 11월 15일 SBS 공식 유튜브 채널 ‘스브스캐치’를 통해 공개됐다.

업계소식이한승 기자